표준훈련지수란?
직업능력개발 표준훈련지수란?
국내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(교육훈련비)와 정부지원 직업훈련(사업주훈련) 참여 및 실적에 관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산출
-전체기업에 대한 종합지수와 업종, 규모, 지역 등 각 집단별 표준훈련지수를 도출, 기업별 집단과 비교 가능
지수 산출을 위한 지표
구분 | 한국기업데이터 DB(투자) | 한국고용정보원 DB(참여실적) | ||
---|---|---|---|---|
지표 | ① 인건비 대비 교육훈련비율 (교육훈련비 / 인건비 x 100) |
② 1인당 교육훈련비 (교육훈련비 / 상시근로자 수) |
③ 직업훈련 참여율 (훈련 참여인원 / 상시근로자 수 x 100) |
④ 1인당 직업훈련 시간 (훈련시간 / 상시근로자 수) |
가중치 | 51.23% | 9.10% | 9.74% | 29.93% |
지수 개발 방법

- 지수개발 방법 : 기업 내 연도별 변화 비교가 가능한 절대지수와 기업 간 비교가 가능한 상대지수를 도출하여 합산
* (절대지수) 각 지표를 해당 지표의 평균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산출
** (상대지수) 표준누적분포함수(0~1 사이 확률분포)를 활용하여 각 지표값(4개)의 z점수에 200을 곱하여 0~200점 분포의 점수를 지수로 활용
- 표준훈련지수 = a×지수① + b×지수② + c×지수③ + d×지수④
* a, b, c, d 는 가중치로 4개 지수가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의 비율 (총 영향을 1로 가정)
** 각 지표별 지수와 매출액의 함수에서 비례관계로, 미약하지만 매출액에 영향을 주고 있음